
동 재질에 비해 열전도율은 낮지만
가볍고 자재비가 비교적 안정적인 알루미늄 히트싱크 입니다.
고객의 니즈와 희망 사항에 맞춰
최적의 수냉 히트싱크를 제공합니다.
수냉히트싱크의 성능은 재질과 냉매공급능력이 동일해도 유로의 형태와 열원접촉면의 정밀도에 따라 크게 달라집니다
표면온도의 편차가 적은 유로설계
열원과의 밀착성을 높이기 위해 평면도와 평행도를 0.02mm이하로 제작합니다.
브레이징으로 플레이트 전면을 밀착 접합 합니다.
누수 걱정이 없으며 안정된 냉각성능을 발휘합니다.
부재 (모재) 자체를 용해시키지 않고 접합시키기므로 브레이징재는 접합 부재 (모재)보다 융점이 낮은 합금 (브레이징재)를 사용해야합니다.
알루미늄 (A1050)의 융점이 약650℃에대해 사용하는 브레이징재도 알루미늄이 기반이므로 그 차이가 거의 없습니다. A6063에서도 마찬가지로 브레이징재의 융점과 근접해있으므로 로내의 온도 제어가 중요합니다.
본체에 뚜껑, 연결구를 플럭스 브레이징 또는 진공 브레이징으로 접합하고 있습니다. 접합의 신뢰성이 높아 안심하고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진공 장치에서 사용하는등 가스 방출이 문제가 되는 경우는 플럭스를 사용하지 않고 진공 브레이징을 실시합니다.
재질 | 본체 | A1050, A6063 |
---|---|---|
연결구 | SUS | |
최대 크기 | 800L × 500W | |
평면도 | 0.02mm 이하 (냉각부) | |
평행도 | 0.02mm 이하 (냉각부) | |
표면 처리 | 없슴 |
800L × 500W를 넘는 대형 히트싱크도 상담해주십시오. 800L × 500W 이상의 히트싱크는 일체형으로 제작 할 수 없지만, 히트싱크 몇개를 연결하는 분할 설계로 원하는 크기의 히트싱크를 제안합니다.
히트싱크를 설계하기 위해서는 최종적으로 6개의 항목을 결정할 필요가 있습니다.
우선 냉각성능을 결정하는 조건인 2개(열부하와 열원의 사이즈)를 알려주시면 나머지 항목을 포함하여 사용환경과 용도에 최적한 사양의 히트싱크를 설계, 제안하여 드립니다.
스테인리스 연결구(배관 접속부)를 히트싱크 본체 (동이나 알루미늄)에 브레이징하고 있습니다.
연결구를 씰테이프를 감아서 본체에 접속하는 타입도 있습니다만, 연결구와 본체를 브레이징하는 것이 장기 신뢰성이 뛰어나 안심하고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높은 열전도율을 가진 동 히트싱크는 표준 사양품도 준비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