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동의 높은 열전도율을 살린 수냉 히트싱크 입니다.
냉각 성능을 우선으로 하는 사용 용도에 적합합니다.
고객의 니즈와 희망 사항에 맞춰
최적의 수냉 히트싱크를 제공합니다.
수냉히트싱크의 성능은 재질과 냉매공급능력이 동일해도 유로의 형태와 열원접촉면의 정밀도에 따라 크게 달라집니다
표면온도의 편차가 적은 유로설계
열원과의 밀착성을 높이기 위해 평면도와 평행도를 0.02mm이하로 제작합니다.
브레이징으로 플레이트 전면을 밀착 접합 합니다.
누수 걱정이 없으며 안정된 냉각성능을 발휘합니다.
아웃가스가 없는 클린도가 높은 환경에서 사용하는 것을 전제로, 소재는 무산소 동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무산소동은 가스 방출이 적기 때문에 진공 장치에서도 안심하고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터프피치동을 사용하는 경우도 있지만, 시장 유통성이 개선되어, 동등 혹은 그 이하의 재료 비용으로 무산소동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부식 및 산화에 의해 히트싱크면 정도가 거칠어지면 발열체와 접촉 면적이 줄어 냉각 성능이 저하되므로 Ni 도금을 권장합니다.
본체측과 뚜껑, 플렌지를 진공 또는 분위기로에서 브레이징하여 접합하고 있습니다. 접합의 신뢰성이 높으므로 안심하고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진공 (분위기) 브레이징은 대기 (산소)를 차단 분위기 (진공 및 질소 등)에서 가열함으로써 브레이징하는 방법입니다.
플럭스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마무리가 깨끗하고 환경 친화적인 방법입니다.
재질 | 본체 | C1020 (무산소동) |
---|---|---|
플렌지 | SUS | |
최대 사이즈 | 800L × 450W | |
평면도 | 0.02mm 이하 (냉각부) | |
평행도 | 0.02mm 이하 (냉각부) | |
표면 처리 | Ni 도금 |
800L×450W를 넘는 대형 히트싱크도 상담주십시오. 800L×450W 이상 히트싱크를 일체형으로 제작할 수는 없지만 복수의 히트싱크를 연결하는 분할 설계로 원하는 사이즈의 히트싱크를 제안합니다.
히트싱크를 설계하기 위해서는 최종적으로 6개의 항목을 결정할 필요가 있습니다.
우선 냉각성능을 결정하는 조건인 2개(열부하와 열원의 사이즈)를 알려주시면 나머지 항목을 포함하여 사용환경과 용도에 최적한 사양의 히트싱크를 설계, 제안하여 드립니다.
히트싱크의 냉각 성능을 최적화하기 위해서는 발열체의 사이즈 및 개수, 배치 레이아웃 등의 조건에 따라 개별적으로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고객의 요청에 따라 범용성이있는 타입을 준비했습니다.
금속 (SUS) 플레이트에 냉매를 흐르게하기 위해서 파이프를 브레이징한 타입의 히트싱크를 사용하고 있지 않습니까? 냉매를 흐르게 하기위한 유로를 플레이트 내에 설치하는 것으로 냉각 성능을 향상 (직접 냉각)시킬 수 있습니다.
금속 (SUS) 플레이트에 파이프를 대기 브레이징
(간접 냉각 방식)
냉매의 유로를 플레이트 내에 설치하는 것으로
냉각 성능을 향상 (직접 냉각 방식)
알루미늄의 열전도율은 구리의 약 절반이지만 장점도 있습니다.
원재료비가 동에 비해 약 3 분의 1
비중이 약 3 분의 1. 알루미늄 : 2.7 동 : 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