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같은 실적은 많이 있으며 이 표에 없는 새로운 재료의 기밀 접합에 대해서도 연락을 바랍니다.
同種だけでなく、異種金属を真空炉・無酸化雰囲気炉によりろう付しており、ガス放出が懸念される真空用途でも安心してお使いいただけます。
熱膨張率の違いをコントロールしておりますので、X線透過等の用途がある薄膜金属との接合もお任せください。
タングステン、モリブデン、チタン、ベリリウム、セラミック、ダイヤモンド、カーボン等を組み合わせた、異種金属や異種材料の接合が当社の特長です。
歪みの出やすい平面接合、突合せ接合も高精度にろう付(金属接合)します。いずれの場合でもろう材のボイドはほとんどありません。パイプ形状も数多く手掛けています。
モリブデン―銅
タングステン―銅
銅―アルミナ(導波管)
モリブデン―アルミナ
アルミ―アルミナ
銅―アルミナ
銅―ステンレス
銅―窒化アルミ
コバール―窒化アルミ
アルミ―カーボン
アルミ―ステンレス
チタン―ステンレス
石英―コバール
サファイア―銅
サファイア―ステンレス
ベリリウム―アルミ
ベリリウム―銅
ベリリウム―ニッケル
ダイヤモンド―タングステン
세라믹과 금속을 기밀 접합하려면 세라믹의 접합면을 메탈라이즈 한후에 금속과 브레이징하는 방법이 채택되고 있습니다.
금속과 세라믹의 열팽창 계수의 차이가 크면 접합시 세라믹에 균열이 발생하기 때문에 금속측은 세라믹에 열팽창 계수가 가까운 철-니켈-코발트 합금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알루미늄은 열팽창계수가 철-니켈-코발트 합금의 3-5배의 값이기 때문에, 세라믹과의 기밀접합은 어려웠습니다.
또한 철-니켈-코발트 합금은 자성체 재료이고 비자성이 요구되는 최첨단 연구 시설등에 사용할 수 없는 경우가 있었습니다.
당사는 자체 개발한 티타늄 기반의 금속 페이스트로 메탈라이즈후 진공 상태에서 알루미늄과 브레이징 함으로써, 세라믹과 알루미늄의 기밀 접합을 가능하게 했습니다. 메탈라이즈 페이스트와 알루미늄 브레이징재의 조성을 새롭게 개발한 것 외에도 브레이징시 히트 곡선을 수정하므로서, 세라믹측에 걸리는 데미지를 저감하고 균열이 없는 기밀 접합을 실현시켰습니다.
세라믹은 알루미나계 Al2O3(99%)이며, 알루미늄은 순수 알루미늄계의 A1050, A3003이 대상입니다.
세라믹과 금속과 마찬가지로 탄소계 재료와 금속의 기밀 접합도 실시하고 있습니다.
"용해 티타늄 메탈라이즈 법"에의해서 탄소계 재료를 메탈라이즈하면 탄소계 재료의 계면에 TiC의 반응상을 생성한 메탈라이즈 층이 형성됩니다. 이것은 산화물 세라믹에대해서 TixOY 반응상을 생성하는 원리와 같습니다.
샘플은 메탈라이즈한 카본과 동을 은브레이징재를 이용해 브레이징한 사례입니다.
열팽창률이 크게 다른 이종 재료끼리라도 양호한 접합을 얻을 수 있습니다.